티스토리 뷰

4대보험 안들면

직장을 다니는 분들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4대보험은 가입이 되어 있을꺼에요. 사대보험은 어느정도 강제성이 적용이 되어서, 일반 회사를 다니고 있다면 다 들게 되어 있습니다. 그때 만약의 경우에 4대보험 안들면 어떻게 되는걸까 생각하는 분들을 위해 알아봤습니다. 기본적으로 이 4대보험은 산재, 건강, 연금, 고용보험이 있는데요.

이때 이것을 가입하지 않는다면, 짧게 보면 매달내에 되는 금액이 없어지게 되면서 근로자 입장에서는 급여가 더 많아지게 될꺼에요. 또한 사업자 입장에서도 4대보험은 사업자가 절반을, 근로자가 절반을 내야 되는 형태라 많이 꺼려하는데요.


하지만 4대보험을 내지 않게 되면 앞에서 말한 4가지 보험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혹시 작업을 하다가 사고가 나는 경우(산재), 병원비 지원을 받아야 되는 경우(건강), 국민연금을 받는 경우(연금), 실업급여를 받는 경우(고용)에 이를 받지 못할수 있어요.

앞에서도 이야기를 했지만, 내야 되는 금액에 절반은 회사가 지원하기 때문에 웬만하면 4대보험으로 이용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4대보험을 들게 되면 앞에서 말한 병원비 지원에 있어서 해당이 되는 경우라면 70~80% 정도 지원이 될수도 있습니다.

또한 타의에 의해서 직장이 없어지거나 해고가 되면 그것에 따라 일정 부분 생활을 하거나, 다음 취업을 위한 교육자금 등으로 활용할수 있는 실업급여를 못받는다는게 상당히 큰 부분인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은 사항인것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은 4대보험을 드는것을 권유하고 있습니다. 당장 나가는 돈보다는 미래를 더 생각하고 앞수를 볼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4대보험 금액이 구체적으로 얼마나 빠져나가는지 알고 싶다면 4대보험 계산기를 활용하면 되는데요.

이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내에서 확인을 할수 있습니다. 급여에 따라서 각각 얼마의 비율이 빠져나가는지를 알아보세요. 이상 알아본 4대보험 안들면 어떻게 되는지 장단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