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젠테이션 자료를 만들기 위해 참고용 자료의 포인터 컬러 코드를 알아내야 할 순간이 있는데 이런 색 추출의 경우 일정 버전 이상의 ppt에서 지원을 해주고 있지만 전용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추출을 하는 것이 훨씬 간단합니다. 그래서 툴을 원하시는 분들의 발걸음이 꾸준하게 이어지는 것일 텐데 이번에 참고할 수 있는 글을 적었으니 읽어보시면 됩니다! 가장 많은 분들이 추출에 사용하고 있는 툴의 이름은 'Coloer Cop'이며 공식 홈페이지인 'colorcop.net/download'를 찾아가면 실행 파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 페이지의 English v5.4.5dml 하단에 있는 colorcop.zip을 클릭하면 ppt 색 추출 프로그램 다운이 되죠. 받은 파일은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압축을 풀고 실..
다양한 유형의 자료들을 다루면 포맷을 바꿔주어야 할 순간이 왕왕 있는데 pdf파일을 보통의 이미지로 변환을 해주는 것이 목적이라면 간단한 절차로 작업을 하고 jpg를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jpg를 만드는 과정이 쉽다고 해도 변환 기능은 다룰 수 있어야 하는데 이번에 방법을 적어두었으니 읽어보시면 포맷을 바꾸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프로그램에서 기능을 지원해주기도 하지만 단발적인 변환을 위해 툴을 받고 설치하는 것은 귀찮은 느낌이 있습니다. 그래서 jpg를 만들 땐 웹 기능을 쓸 것을 추천하는데 'goo.gl/5oe0OO'에서 기능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고로 pdf파일 jpg 변환 작업의 필수적인 부분은 적어둔 주소를 브라우저에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는 것입니다. 페이지가 뜨면 형형색색의 메뉴들이..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각종 경고 화면과 대화 상자들이 뜨게 되는데 가상메모리가 부족하다는 화면이 나타났다면 늘리기를 해주는 작업으로 어느 정도는 해결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늘리기를 위한 순서를 알아야 작업을 컴퓨터에 적용할 수 있는데 이번에 정보를 정리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일단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Pause Break'을 누르고 시스템 화면을 띄운 후 좌측의 고급 시스템 설정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성능 크룹의 설정, 고급 탭의 변경, 모든 드라이브 크기 자동 관리 체크 해제를 하면 가상메모리 늘리기 작업 순서가 완료되는데 자세한 클릭 위치는 아래 이미지를 올릴 테니 그 부분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팁을 드리자면 늘리기를 할 땐 무작정 늘리기를 해주는 것보단 사용하고 있는 램을..
호환성과 보안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막상 편집해야 할 입장이 되면 귀찮게 느껴지기도 하는 pdf인데 그나마 다행인 것은 회전 저장을 하는 것 정도는 웹 기능을 쓰면 간단하게 해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화면을 돌려서 저장하기 위한 기능이 쉽다고 해도 다루는 방법은 알아둘 필요가 있겠죠? 그래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그럼 저장 기능을 지원해주는 곳은 어딘고 하니 'goo.gl/5oe0OO'입니다. 제가 짧게 편집한 주소이며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해야 정상적으로 pdf의 편집이 가능한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좌우간 방문하면 다양한 메뉴들이 나열되어 있는데 살펴보면 pdf 회전 저장 도구 메뉴가 있으니 그 부분을 클릭하면 됩니다. 혹시 저장 도구 메뉴 위치를 모르겠다면 하단에 엮은 이미지를 확인하..
디자인 작업이 많다면 어도비의 제품을 쓰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프로젝트 자료의 경우 미리보기를 할 수 없어서 매번 자료를 열어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죠? 이럴 땐 psd파일을 탐색기에서 미리보기를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해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됩니다. 문제는 어떤 툴이 기능을 지원하느냐는 것인데 이번에 도움이 될 글을 정리했으니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미리보기를 지원하는 툴은 몇 가지 종류가 있는데 기능이 뛰어나면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툴은 'SageThumbs'이며 다운로드는 'goo.gl/fdqHZB'를 찾아가면 됩니다. 원래의 주소가 너무 길어서 제가 짧게 만들어 봤습니다. 참고로 psd파일 미리보기 기능 프로그램을 받는 페이지로 연결을 하려면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해서 브라우저의 ..
전기가 낭비되는 것을 조금이나마 막고 모니터의 수명도 늘려주는 기능인데 사실 윈도우7을 쓰면서 해당 기능이 수시로 발동되면 귀찮은 느낌이 있죠? 이럴 땐 필요에 따라 화면보호기 해제를 해주면 됩니다. 다만 작업 방법을 알아야 하는데 이번에 해제를 위해 알아둬야 할 내용을 설명하려 글을 엮었으니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능 해제를 위한 절차는 몇 가지가 있는데 윈도우7에서 가장 따라 하기 쉬운 절차를 위주로 얘기하겠습니다. 일단 윈도우7의 바탕 공백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하단의 개인 설정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우측 하단을 살펴보면 윈도우7 화면보호기 해제와 관련된 메뉴가 바로 보일 것입니다. 물론 클릭하면 됩니다. 이어서 화면보호기의 설정과 관련된 창이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면 좌측 하단의 전..
컴퓨터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거나 업그레이드를 고려하고 있을 땐 사양체크를 해주어야 하는데 pc의 자체 기능으로 사양체크를 할 수도 있지만 전용 프로그램을 받고 활용하는 것이 정확하고 간단합니다. 물론 적당한 프로그램을 알아야 하는데 이번에 관련 정보를 엮었으니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컴퓨터의 하드웨어 정보를 나열해주는 툴의 이름은 'Speccy'이며 'Piriform'에서 만든 툴이니 꽤나 신뢰가 가는 편입니다. 그리고 고맙게도 설치하지 않아도 사양체크를 할 수 있도록 포터블 버전도 공식 배포가 되고 있는데 'piriform.com/speccy/builds'를 찾아가면 됩니다. 고로 pc 사양체크 프로그램 활용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적어둔 주소라 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가 뜨면 두 가지..
이번 글의 주제가 되는 포맷은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의 소리를 삭제한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음원의 손실이 없는 엄청난 매력이 있지만 flac의 호환성을 고려해서 어쩔 수 없이 mp3 converter를 써주어야 할 순간도 있죠? 그래서 converter에 대한 정보를 찾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이번에 사용을 위한 다운로드 정보를 엮었으니 혹시 필요하다면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제목에 있는 것과 동일한 이름의 converter도 있지만 저는 더욱 다루기 쉬운 Flic flac을 쓸 것을 권장합니다. 해당 툴의 경우 클릭과 드래그 앤드 드롭으로 쉽게 converter의 기능을 쓰는 것이 가능하며 'goo.gl/47wmxv'에서 받을 수 있죠. 고로 flac mp3 converter의 핵심은 적어둔 주소..
텍스트 파일을 인식할 수 없는 환경에서 동영상과 텍스트를 동시에 출력해야 한다면 사전에 자막넣기를 해주어야 하는데 이런 작업은 다음팟인코더를 쓰면 됩니다. 물론 자막넣기를 위한 절차는 알아두어야 하는데 이번에 작업을 위한 방법에 대해 엮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텍스트와 동영상을 한 폴더에 넣어주고 이름을 똑같이 맞춰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한 뒤 자막넣기를 해주어야 할 동영상을 목록에 추가합니다. 이어서 우측의 환경 설정을 클릭하고 하단의 이미지와 동일한 탭에서 같은 항목을 체크한 뒤 시작을 눌러주면 다음팟인코더 자막넣기 작업 방법은 완료가 됩니다. 만약 작업을 진행하면서 목록에 자막넣기를 해줄 동영상을 추가했는데 하단의..
평소 자잘하게 기억해두어야 할 내용이 많은 분들이라면 컴퓨터의 메모 가젯을 써보는 것이 좋은데 혹시 윈도우7에서 가젯을 써보고 싶었지만 활용과 관련된 정보가 부족해서 실행을 할 수 없었다면 아래 참고할 수 있는 글을 엮어두었으니 확인을 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툴을 켜는 방법은 윈도우7의 바탕화면 공백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가젯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관련 화면이 나오면 이번 글의 주제와 일치하는 항목을 찾아서 더블클릭을 해주면 되죠. 다만 이런 절차를 적용해서 윈도우7 메모 가젯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있죠? 이럴 땐 가젯의 형태로 된 툴을 윈도우7에 설치하고 활용을 할 것인지 아니면 스티커를 쓸 것인지 선택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차선책으로 스티커를 선택하실 분들이라..